반응형
구글에서 2024년 올해의 상위 검색어로 자리 잡은 '뤼튼'
단어만 보거나 들었을 때는 ai툴이라고는 전혀 생각지도 못했다. 그래서 도대체 뭐지? 하고 '뤼튼'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잉...? Chat GPT 였어...?
근데 한 눈에 봐도 Chat GPT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하는 주된 기능들이 첫 눈길을 확~ 사로잡게 만들어졌네요.
도대체 이건 어디서 나타난 GPT인가 싶어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국산 AI' 라는 수식어가 눈에 들어옵니다. (정말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똑똑한 분도 정말 정말 많은 거 같습니다. 물론, 아닌 분들...)
5 분 정도 사용해보니 확실히 국산이라 Chat GPT보다 뭔가 좀 친숙한 면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좋은 건 신속하게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뤼튼으로 작성해보는 블로그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검색 엔진으로 네이버를 주로 사용하다보니 왠지 과거에 네이버 vs 라이코스 vs 야후 쌍벽을 이루던
먼 옛날이 떠올라 현재 시점인 뤼튼 vs 네이버 vs 구글을 비교해보고 싶어졌습니다.
질문 1. 뤼튼, 네이버, 구글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해줘.
서술형으로 되어 있다보니 귀찮아서 혹시나 하고 다음과 같이 질문해 보았습니다.
질문 2. 위의 내용을 표로도 작성가능하니?
두~둥!
된..다...!!!!
질문 3. 표보다 더 보기 쉽게 비교할 수 있게 작성해줘.
이건... 좀 실망입니다.
다시 서술형으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실망보다는 개인적으로 앞으로 성장성이 엄청 커보이는 '국산 AI 뤼튼' 대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반응형